
안녕하세요. 오늘은 시스템 환경설정에 마지막 시간인 '시동 디스크'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쉽게 말씀드려보면 맥북에 첫 부팅을 하고 어느 OS에 혹은 물리적인 하드디스크가 별도로 있다면 어느 디스크에 제일 먼저 부팅을 할 건지를 선택해주는 것입니다. 예를 들어 맥 컴퓨터에 부트캠프를 통해 윈도우를 설치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. 맥을 끄고 다시 전원 버튼을 눌렀는데 나는 맥 OS로 가고 싶은데 자꾸 윈도우로 부팅이 됩니다.

이럴 경우 두가지 옵션이 있습니다.
첫 번째는 맥의 시동 버튼을 누르자마자 옵션 Option(⌥) 키를 눌러줍니다.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. 여기서 원하는 시동 디스크를 선택하고 진입합니다.
두 번째, 오늘 살펴보고 있는 시스템 환경설정-'시동 디스크'에 들어가서 원하는 디스크를 미리 선택해 놓습니다. 이제는 컴퓨터를 켤 때마다 선택해주는 것이 아니라 미리 세팅되어 있는 디스크로 부팅이 되게 됩니다.
맥을 사용하면서 여지없이 내가 한국에 살고 있구나 싶을때가 바로 윈도우가 필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. 요즘은 패러렐즈를 이용해서 윈도우를 쓰지만 초반엔 부트캠프를 통해 윈도우를 사용하곤 했죠. 특히나 주식 HTS를 볼 때 윈도우가 무조건 필요하다 보니 계속 병행 사용하게 되네요. (얘기가 삼천포로 빠지네요 ^^;)
이로써 맥북 시스템 환경설정에 모든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맥의 기능은 아직도 수 없이 많지만 가장 기본을 확인할 수 있는 환경설정을 살펴보는 것이 초보로써 가장 쉬운 접근이 되지 않았을까 싶네요. 계속해서 맥관련 좋은 정보들을 꾸준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.
'테크지식 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차 전지에 대해 공부해보자 (9) | 2022.03.13 |
---|---|
맥북 시스템 환경설정 살펴보기 (Time Machine) (14) | 2022.02.18 |
맥북 시스템 환경설정 살펴보기 (날짜 및 시간, 공유) (9) | 2022.02.17 |
맥북 시스템 환경설정 살펴보기 (프린터 및 스캐너, 배터리) (8) | 2022.02.15 |
SK매직 무타공 무설치 가정용 식기세척기 사용기 (DWA-2800P) (18) | 2022.02.11 |
댓글